[ISSUE CHECK] 변화의 바람 속, CBD의 미래는?

안녕하세요, 젠스타메이트 뉴스룸 구독자 여러분! 🙋♂️
이번 주 에는 서울 도심권역(CBD, Central Business District) 시장 이야기를 다룹니다. 최근 싱가포르투자청(GIC)의 서울파이낸스센터(SFC) 매각 소식이 도심을 후끈 달궜습니다. 이 뿐만이 아니에요 CBD 곳곳에서 공사가 벌어지고 있어요. 오늘은 CBD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, 그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까지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. 자, 함께 볼까요? 🚀
CBD가 천지개벽한다고요? 🏗️
네, 맞습니다! 1960년대 후반부터 개발된 서울의 심장부, CBD는 서울시청, 외교부, 정부서울청사, 서울경찰청 등 주요 행정기관은 물론, 대기업 본사와 외국계 기업, 주요 국가 대사관까지 자리 잡고 있는 곳이랍니다.
전통적으로 공실률도 낮고, 새 건물 들어서기도 힘들던 곳이었는데 말이죠.
그런데 지금 CBD 곳곳에서 공사가 벌어지고 있어요! 🚧 양동, 세운상가, 을지로, 서소문 등 거의 모든 곳에서 재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되어 있답니다. 2024년부터 2030년까지, 무려 15개가 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에요. 이게 다 완성되면 CBD의 모습이 어떻게 바뀔지, 상상이 되시나요?
CBD권역 주요 개발 사례
사업명 | 면적(평) | 예상 완료 시점(년) |
양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4-2,7지구 오피스 부분 (구 밀레니엄힐튼 부지) |
80,000 | 2030 |
양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제8-1, 6지구 (구 메트로타워, 서울로타워 부지) |
39,000 | 2029 |
세운 재정비촉진구역 3-8, 9, 10구역 |
69,000 | 2029 |
공평구역 제15, 16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|
43,000 | 2026 |
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| 43,000 | 2029 |
세운재정비촉진지구 3-2, 3구역 | 51,000 | 2029 |
세운재정비촉진지구 4구역 | 41,000 | 2026 |
을지로3가구역 제1·2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(을지파이낸스센터) |
20,000 | 2027 |
을지로3가구역 제6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|
18,000 | 2026 |
을지로3가구역 제12지구 | 14,000 | 2026 |
서소문 제11,12지구 (J빌딩 & M빌딩 재개발) |
38,000 | 2029 |
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| 54,000 | 2029 |
서울역-서대문 1,2구역 제1지구 (삼성생명서소문 재건축) |
65,000 | 2028 |
세운재정비촉진지구 5-1·3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|
41,000 | 2029 |
왜 이렇게 개발 열풍이 불까요? 🌪️
그런데 왜 SFC같은 좋은 건물을 파나요? 🤔
여기서 의문이 들 수 있죠. “GIC는 이렇게 좋은데 왜 팔아?”
전문가들 의견을 종합해보면
하지만 이건 오히려 CBD의 매력을 증명하는 거 아닐까요? 이렇게 좋은 자산을 팔아도 될 만큼 오피스 시장 분위기가 살아있다는 뜻일 테니까요!
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? 🔮
전망은 좀 엇갈려요. CBD 오피스 공실률이 자연공실률(5%)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라 임대료도 상승하고 오피스 매매가도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란 데는 이견이 없는데요. 2025~2026년쯤 CBD에 공급과잉이 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요. 2026년까지 CBD 전체 오피스 면적의 7% 정도가 새로 공급될 예정이거든요. 2030년까지도 공금이 예정돼 있어요,
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 CBD의 변화, 기대되시나요? 아니면 걱정되시나요?
다음 뉴스레터에서 또 만나요! 👋